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ERP정보관리사] 2022년 6회 생산 2급 기출문제 및 오답노트

ERP정보관리사

by 김도도동 2024. 1. 22. 22:52

본문

반응형

 

 

생산 1급 자료는 있는데 생산 2급 자료는 없어서 기출문제 편집본 만들어보았습니다.

오타나 오답 등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려요!

 

2022년 2회 생산 2급 기출문제 편집본은 여기

https://ichbinich.tistory.com/30

 

[ERP정보관리사] 2022년 2회 생산 2급 기출문제 및 오답노트

ERP정보관리사는 급수에 관계없이 4개 모듈인 회계,인사,생산,물류를 다 취득하면 ERP Master 자격요건이 주어지는데요. 그래서 얼결에 준비중인 생산 2급 공부내용도 같이 업로드해보려고 합니다.

ichbinich.tistory.com

 

2022년 3회 생산 2급 기출문제 편집본은 여기

https://ichbinich.tistory.com/32

 

[ERP정보관리사] 2022년 3회 생산 2급 기출문제 및 오답노트

생산 1급 자료는 있는데 생산 2급 자료는 없어서 기출문제 편집본 만들어보았습니다. 오타나 오답 등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려요! 2022년 2회 생산 2급 기출문제 편집본은 여기 링크로 들어가시면

ichbinich.tistory.com

 

2022년 4회 생산 2급 기출문제 편집본은 여기

https://ichbinich.tistory.com/34

 

 

2022년 5회 생산 2급 기출문제 편집본은 여기 링크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https://ichbinich.tistory.com/36

 

[ERP정보관리사] 2022년 5회 생산 2급 기출문제 및 오답노트

생산 1급 자료는 있는데 생산 2급 자료는 없어서 기출문제 편집본 만들어보았습니다. 오타나 오답 등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려요! 2022년 2회 생산 2급 기출문제 편집본은 여기 https://ichbinich.tistory.c

ichbinich.tistory.com

 

ERP정보관리사 시험 과목 및 시험시간 안내

 

 

ERP정보관리사 생산 2급 2022년 6회 기출문제

2022년 6회 ERP정보관리사 생산 2급.pdf
0.11MB

 

 

 

오타나 오답있음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공부하시는 분들 모두 합격하길 바래요!!!

 

ERP정보관리사 생산 2급 2022년 6회 기출문제 오답노트(이론)

 

실무 기출문제 풀어보고 오답노트도 만들어서 올릴까했는데

2급 실무는 1급보다 기출문제 난이도가 낮아서(당연한거지만요 ㅎㅎ)

따로 오답노트가 필요없을 것 같더라고요!!

그래도 실무 기출문제에서 어려운 부분나오면 같이 공유드릴게요

 

 

2. 확장된 ERP시스템의 SCM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얻는 장점

  - 공급사슬에서의 가시성 확보로 공급 및 수요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 가능

  - 정보투명성을 통해 재고수준 감소 및 재고회전율 증가

  - 공급사슬에서의 계획, 조달, 제조 및 배송 활동 등 통합 프로세스 지원

 

7. 델파이기법: 전문가 집단의 합치된 의견의 결과로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

· 판매원 의견종합법: 각 지역 판매원들의 수요예측치를 모아 전체 수요를 예측

·  패널동의법: 패널을 구성하여 자유로운 의견을 수집하고 이를 활용하여 수요를 예측

*정량적 수요예측 기법: 시계열분석법, 지수평활법, 인과모형분석법

 

8. 생산방식에 의한 시스템 분류

·  프로젝트 생산:  건물이나 교량, 선박 등 산출물 한 단위를 상당한 기간에 걸쳐 생산하는 방식

· 개별 생산: 주문에 의한 생산 방식, 소량 생산, 범용 설비 사용, 공정별 기계 배치, 높은 유연성 등

· 흐름 생산: 특수 기계의 생산 라인, 전용 기계, 적은 물자 이송량, 낮은 유연성

 

9. 총괄생산계획(APP): 약 1년에 걸친 계획 대상 기간 동안 변화하는 수요를 경제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기업의 전반적인 생산율,고용,하청,재고 수준 등을 결정하는 중기의 생산능력 계획

*총괄생산계획(APP)수립 후 기준생산계획(MPS)

기준생산계획(MPS): 총괄생산계획을 수립한 뒤, 이를 기준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각 제품에 대한 생산 시기와 수량을 수립하는 생산계획

 
((정리))

**자재소요계획(MRP): 재료, 부품, 반제품 등의 종속적 수요를 갖는 자재의 소요량 및 조달 시기에 대한 관리를 통하여 주문과 생산계획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만들어진 자재관리 및 재고 통제 기법

개략능력요구계획(RCCP): 기준생산계획(MPS)이 주어진 제조자원의 용량을 넘어서는지 아닌지를 계산하는 모듈

                                           기준생산계획과 제조자원 간의 크기를 비교하여 자원요구량을 계산해 내는 것

생산능력소요계획(CRP): MRP 전개에 의해 생성된 계획이 얼마만큼의 제조자원을 요구하는지를 계산하는 모듈

                                         기업의 현실적인 생산능력에 맞추어 자재소요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작업장의 능력소요량을

                                         시간대별로 예측하는 기법

                                         작업공정표 정보, 작업장상태정보, MRP에서 산출된 발주계획 정보

***RCCP, CRP차이

   - RCCP<-MPS Plan / CRP <- MRP Record

   - 자원요구량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CRP가 RCCP보다 정확함

   - CRP가 RCCP보다 현실적인 자원요구량 계획생성이 가능함

 

11, 공정의 분류

· 운반공정

  - 제품 또는 부품이 한 작업 장소에서 타 작업 장소로의 이동을 위해 발생한  작업, 이동, 하역의 상태

  - 가공을 위해 재료를 가져오거나 쌓아 두는 과정은 운반공정이 아니라 가공의 일부임

 

14. 불균형률

· 불균형률 = 100 - *라인 밸런싱 효율(%)

35+30+40+45

------------------   * 100 = 83.3

        4 *45

 

100-83.3= 16.6%

 

17.

 

19. 개략능력요구계획( RCCP)

RCCP는 MPS와 제조자원 간의 크기를 비교하여 자원요구량을 계산해냄

② CRP는 생산능력의 측면에서 MRP의 실행가능성을 검토함

③ RCCP에서 MPS는 최종제품과 주요핵심 부품에 한해서 작성됨

④ CRP는 MRP에서 산출되니 발주계획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수단

 

20. 생산능력소요계획(CRP) - (개념 헷갈려서 중간에 한번에 정리한 내용도 있어요)

·  MRP 전개에 의해 생성된 계획이 얼마만큼의 제조자원을 요구하는지를 계산하는 모듈

·  기업의 현실적인 생산능력에 맞추어 자재소요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작업장의 능력소요량을

·  시간대별로 예측하는 기법

·  작업공정표 정보, 작업장상태정보, MRP에서 산출된 발주계획 정보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